반응형 중관학의 탄생1 중관학의 탄생과 개념의 실체성 비판 중관학은 반(反)논리학인데 제일 첫 단계가 개념의 실체성 비판이다. 큰 방-작은 방, 아름다움-추함, 부유함- 가난함, 삶-죽음 그리고 눈-시각대상 등 개념의 실체성을 논파하였다. 용수((Nāgārjuna) 인도 남부 지방에서 바라문 계급으로 태어났다. ‘대승불교의 아버지’라거나, ‘모든 대승 종파의 스승’이라고 불린다. 저술: - 총 450여 수의 Śloka(4×4조의 음절시)로 이루어진 철학적 게송 모음집 그 외 , , , , , 등 이 있다. 공을 공부하려면 『중론』과 『회쟁론』을 보면 된다. 『중론』은 공이 무엇인지 알게 되고 『회쟁론』은 공에 대한 비판을 반박한 것이다. 1.중관학의 탄생 – 소승 아비달마 비판 초기불교 ↓ ↓ ↓ 아비달마 = 소승 = 부파불교 ↓ ↓ ↓ □ □ 대승 > 반야경 .. 2022. 6.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