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육조단경3 2023년 몽지선공부모임 10년결사 저녁공부_육조단경1-3 [2023년 3월 9일 목요일] p26 7.혜능선의 의의 대개 선은 좌선으로 자성을 철견하는 것이 기본방식이다.▶ 대부분은 좌선으로 자성을 꿰뚫어 본다고 말한다. 그런데 혜능 조사에 있어서는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좌선이 아닌 견성이며 ▶앉아서 무엇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깨닫는 것이며 철견이 아닌 행상삼매이다. ▶일행一行삼매, 일상一相 삼매이다. 한행의 삼매이다. 일행一行이라함은 한 행一行의 삼매이다. 한 행一行으로 삼매이다. 이 한 행一行은 내가하는 행行이 아니다. 내가 있고 행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따로 있는 것은 이행二行이다. 일행一行은 '이것'을 말한다. 이 작용이 하나의 행이다. 일상一相은 무엇인가? 내가 어떤 상( 법상)을 보는 것이 아니다. 그렇게 되면 보는대상과 보는 이가 있어서.. 2023. 3. 9. 몽지선공부모임 10년결사 저녁공부_육조단경1-2 [2023년 3월5일 일요일] 4. 혜능 조사의 주창점. (p20~26까지) 알면 상대이다. 보거나 듣거나 냄새맛거나, 맛보거나, 느낄 수 있거나 만질 수 있다면 그것은 도가 아니다. 봐도 들어도 느껴도 생각해도 뭔지 모른다. 그런데 생생하다. 생생하고 성성한다 아무 의식의 내용물이 없다. 이것이 성성적적 우리의 본래심, 본래면목, 이 자리이다. p21. 대개 보이고 지켜지는 본성이란 본성이 아니다. 그것은 상(어떤 대상)이거나 아니면 공(아무것도 없는 공적한데)이다. 집상(상에 집착)이며 집공(공에 집착)이며 아니면 정박(깨끗한데 묶인 것)이다. ▶수도를 하다 보면 아주 깨끗한 의식 상태가 나온다. 그러면 그것을 지킬려고 한다. 왜냐하면 그것이 좋으니까. 이때 보아야한다. 깨끗하든 더럽든 시끄럽든 고요.. 2023. 3. 5. 2023년 몽지선공부모임 10년결사 저녁공부_육조단경 1 [2023년 3월4일 토요일] 4. 혜능 조사의 주창점. (p20~26까지) 오전에는 한국선사들과 재가의 선지식 글들을 공부. 오후에는 서구의 여러전통을 공부. 저녁에는 전통적인 중국조사선의 주요어록을 공부하는데 단경부터 시작한다. 중국조사선의 개창자는 육조 혜능이다. 혜능의 기록은 육조단경뿐이다. 육조단경은 설화적이다. 도입부분이 영웅신화적인 스토리이다. 일종의 영웅설화이다. 그래서 민중들 사이에서 쉬운 접근성과 인기있게 회자되고 도움이 되었다. 단경부터 시작하는 이유는 육조단경이 선의 정안이다. 조계종의 종단의 이름에는 2가지 의미가 있다. 육조 혜능에서 왔다는 설과 보조국사 지눌(육조혜능을 숭상함)에게서 왔다는 설이 있다. 혜능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한국조계종의 강원 교육과정에 단경이 없다.. 2023. 3.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