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론2 무기설, 중관, 선문답 [무기설, 중관, 선문답] 무기설: 의문 → 침묵 → 연기설 → 해소 의문이 있으면 침묵했다가 연기법을 설해서 해소하셨다. 해소가 열반이다. 중관학: 의문 → 중관논적 비판 → 해소 중관학은 의문이 있으면 중관 논리로 비판하고 해소한다. 선문답: 의문 → 의문의 파기 → 해소 선승들에게 부처님은 어떤 분입니까? 하고 질문하니 “마른 똥막대기” 하면서 확 소리 지르면 깜짝 놀라서 무슨 질문했는지 잊어버린다. 철저한 초기불교의 계승이다. 현학에서 쓰는 말들을 이용한다. 중국 불교 전체가 노장적인 면이 있다. 노장의 소재를 가져다가 사용한다. 유(有), 무(無)의 개념이다. 중국 전체를 한마디로 평하면 인도 불교를 현학에서 이용하는 유(有), 무(無)라는 개념으로 재조직한 것이다. 숭유론, 귀무론의 논쟁이 현.. 2022. 6. 26. 중관학8강: 중론의 개념실체성 비판 중론의 개념실체성 비판 개론 미-추:아름답다-못생겼다. 대-소:크다-작다. 장-단:길다-짧다. 생-사: 살아있다-죽는다. 총명-우둔: 똑독하다-우둔하다. 부유하다-가난하다. 이것은 모두 상대 개념이기 때문에 연기의 종류가 여러 가지가 있다. 을 비교하는 연기이다. 연기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이렇게 상대 개념을 비교하는 연기도 있고, 상인대(相因對) 즉 서로 인이 되어서 의지한다는 대립 개념을 가지고 얘기하는 연기가 있다. 대립 개념을 갖고 얘기하는 연기는 노자 『도덕경』에서도 이야기한다. 노자의 『도덕경』도 상-하, 높고 낮음의 대립 개념을 가지고 사물의 실체가 없다는 이야기를 한다. 노자. 장자도 불교에서 추구하는 진리 비슷한 것들이 나온다. 서양 철학자들의 책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2022. 6.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