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12연기2

중관학의 연원 부처님의 침묵 중관학의 연원 –부처님의 침묵 여러 가지 형이상학적 문제에 대해서 답을 안 하신 부처님의 침묵이 불교의 무기설이라고 해서 아주 너무나 유명한 중요한 테마이다. 부처님의 침묵을 계승한 것이 중관학이다. 차이점은 부처님은 세관과 자아의 끝이 있습니까? 없습니까? 다시 말해 내가 죽은 다음에 끝납니까? 이어집니까?이어집니까? 하는 문제이다. 세간과 자아가 상주합니까? 무상합니까? 다시 말해 전생이 현생으로 이어졌습니까? 아니면 현생이 새롭게 시작했습니까? 하는 문제이다. 또 여래, 깨달은 분, 아라한이 돌아가신 다음에 어딘가 존재합니까? 아니면 아예 사라집니까? 하는 문제이다. 또 하나가 영혼과 육체가 영혼, 우리의 정신과 몸뚱이가 다 같을까? 다를까? 하는 문제이다. 여기에 답을 안 하시고서는 침묵 후에 연.. 2022. 6. 22.
중관학9강: 중관학과 12연기 지금까지는 ‘개념의 실체성 비판’만 이야기하였다. 왜 실체가 없냐면 지금까지 이야기했듯이 연기했기 때문에 공 하니까 연기, 항상 대립쌍과 함께 나타났기 때문에 원래 실체가 없다. [질문: 12 연기 식과 명색에서 명색을 조건으로 식의 발생은 식의 조건으로 인식의 발생 과정, 명색의 발생은 존재 발생 과정으로 볼 수 있을까요?] 그건 아니다. 둘 다 존재의 발생이다. 『중론』 총 27장 중 26장에 12연기에 대한 얘기가 나오는데 이것을 격파하지 않고 12연기를 그냥 그대로 설명한다. 『중론』에서 가장 독특한 장이 제26장 관십이인연품(觀十二因緣品)이다. 무명(無名)이 있으면 행이 있고에 대해서 낱낱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수 스님은 철저하게 12연기를 다 수용한 분이고, 12연기에 대한 태생학적 해석을 .. 2022. 6.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