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05

중관학4강: 관련서적 소개 중관학 관련 서적 소개 1. 중론 중관학의 교과서가 『중론』이다. 원래는 경서원에서 책을 냈다가 다시 새롭게 개정해서 낸 책이다. 제일 처음 쓴 책이 중론 총목서의 주석서이다. 구마라습 스님께서 한문으로 번역하신 중론 총목서로 가장 널리 보급되었다. 동아시아에서 공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처음으로 가능하게끔 만들었던 책이 바로 중론 총목서이다. 이것을 번역한 책이다. 네모 안은 인도의 용수 스님께서 직접 쓰신 중론 게송이다. 네모 바깥의 것은 삔갈라라(한문으로 청목)는 인도 스님의 한문 해석이다. 청목 스님의 한문 해석을 우리말로 번역한 것이다. 한문 해석문을 읽을 때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어서 게송 부분만을 따로 범어 원문으로 네모 안에 별도 기재하여 대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원문의.. 2022. 5. 29.
중관학 3강: 서론 서론 남을 위해서 봉사할 때 어떤 한 사람을 도와주는 것보다 공적인 일을 할 때 공덕이 더 크다. 예를 들면 마을에 개천이 있는데 비만 오면 건널 수 없어서 불편하다. 이때 다리를 놔주면 그 공덕이 크다. 왜냐하면 그 다리로 수천수만 명이 몇십 년 동안 혜택 받기 때문이다. 대지도론 (大智度論)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대면 수업할 때 칠판에 잔뜩 판서하고 강의 끝나고 교수님이 혹시 못 지우고 나갔을 때 누군가 지워 주면 공덕이 크다. 이 또한 다음 수업을 듣는 학생들과 그 교수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공덕을 짓더라도 개인적인 공덕보다 집단적인 혜택을 주는 공덕을 짓는 것이 과보가 크다. 인과응보(因果應報)는 정연(整然)하다. 이것을 어떻게 믿을까? 악한 데도 잘 사는 것 같은데 인.. 2022. 5. 29.
중관학 2강: 2. 중관(中觀)의 의미... 계속. 2. 중관학의 의미(계속) 초전법륜, 부처님의 첫 번째 설법에서 가장 유명한 것이 중도 설법이다. 이 설법의 중도가 실천적 중도이다. 고행도 하지 말고 세관락(세속적 낙)에도 빠지지 말라고 했다. 여기서 세관락은 세속적인 낙(樂)이 아니다. 왜냐하면 다섯 비구한테 설법하시는데 다섯 비구는 벌써 세속적 쾌락은 다 떠난 수행자이기 때문이다. 부처님 열반 후 불전이 처음 결집될 때 아난존자(阿難尊者)가 암기한 부처님의 설법을 구전으로 전승하였다. 이렇게 초기불교 500년 동안은 암송된 설법을 구전으로 전승하다가 기원전·후에야 문자로 전승되었다. 패엽경(貝葉經), 조개처럼 생긴 잎에 경전을 새겼다. 문자 전승이 시작한 것은 부처님 열반 후 500년이 지나서이다. 지금 초기불전인 아함경, 니까야와는 다르다. 12.. 2022. 5. 28.
중관학2강: 1. 중관학(中觀)의 창시자, 문헌 1. 중관학(中觀)의 창시자, 문헌 용수(龍樹: Nāgārjuna, 150~250경) / 인도 남부 지방에서 바라문 계급으로 태어났다. ‘대승불교의 아버지’ , ‘모든 대승 종파의 스승’이라고 불린다. 저술: 《중론》 - 총 450여 수의 Śloka(4×4조의 음절시)로 이루어진 철학적 게송 모음집 그 외 《회쟁론》, 《육십송여리론》, 《공칠십론》, 《광파론》, 《대지도론》, 《십이문론》 등 아리야제바(阿利耶提婆: Āryadeva, 170~270경) / 저술: 《백론》, 《사백관론》. 중관학의 창시자는 용수(龍樹: Nāgārjuna, 150~250경) 스님이다. 대표적인 저술이 《중론(中論)》이고 총 450여 수의 Śloka(4×4조의 음절시)로 이루어진 철학적 게송 모음집이다. 한문 번역본은 455수의.. 2022. 5. 27.
중관학 1강: 중관학의 개관 중관학의 개관 불교는 실천되지 않으면 무의미하다. 실천에는 두 가지가 있다. 내가 깨닫기(見性) 위해서 하는 수행인 ‘깨달음을 위한 실천’과 가정생활, 사회생활, 직장생활 등 타인과의 관계 등 구체적인 삶 속에서의 실천이 있다. 이처럼 불교는 인간 각자의 삶 속에서 구체적으로 살아가는 삶의 모습으로 배어 있어야지만 제대로 공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불교는 기독교 신앙처럼 종교를 ‘믿냐? 안 믿냐?’라는 표현보다는 ‘불교 하는 사람’이라는 표현을 쓴다. 이 표현에는 불교가 실천하는 종교라는 관념이 포함되어 있다. 이때 ‘실천’은 수행의 측면도 강하지만 사회적 실천도 있다. 그래서 수행의 중관학(中觀學)을 이 세계 속에서, 사회 속에서 어떻게 실천할지 함께 공부해보도록 하겠다. 불교의 교학 가운데 초등학교.. 2022. 5.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