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05

화엄경 법성게-상즉상입: 화엄적 논법 [의상대사의 법성게 – 상즉상입(相卽相入)] 상즉: 일즉일체 다즉일 一卽一切 多卽一 , 상입: 일중일체 다중일 一中一切 多中一 일체 속에 무한이 있다. “하나 속에 무한 있고 무한 속에 하나 있고 하나가 곧 무한이요 무한이 곧 하나일세.” [의 절대부정과 의 절대긍정] 공(空), 무(無) = 우주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시계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욕심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시작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종말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물질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살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마음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부처 = 모든 것(일체) 공(空),.. 2022. 7. 10.
수행자는...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수자타 수행자는 해치지 않고 죽이지 않고 괴롭히지 않고 수행자는 사랑으로 이웃을 축복하고 모두에게 번영을 가져오고 스스로 행복하게 살면서 남도 행복하도록 도와주고 그래서 수행자는 친구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소중하게 여겨지는 사람들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수자타 지음 / 하숙희 옮김 불일출판사 2022. 7. 8.
화엄적 논법: 개념의 실체성비판-웃음, 울음, 정지와 움직임 웃음 웃음이 무엇인가? 웃음이라고 할 때 결론은 웃음도 모든 것이다가 되어야 한다. 생각해 보자. 언제 웃는가? 기쁘면 웃는다. 기쁠 때만 웃는가? 슬플 때도 웃고, 화가 나도 웃는다. 정신이 좀 나가도 웃기도 한다. 간지러워도 웃는다. 웃음이 모든 감정을 표현한다. 이것이 화엄이다. 웃음이 무엇이냐고 할 때 독특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다. 모든 감정을 다 표현한다. 웃음이 뭐냐 할 때 모든 게 다 웃음이다. 일체가 다 웃음을 유발한다. 울음 울음이 무엇인가? 슬플 때, 기쁠 때 즉 상반된 감정일 때도 운다. 무서워도 울고, 이유 없이 울기도 한다. 울음도 역시 마찬가지로 모든 감정을 다 표현한다. 감정이든, 욕심이든, 어떤 사물이든, 어떤 개념이든 그 모든 게 다 테두리가 없다는 것과 열려 있음을.. 2022. 7. 8.
ing: 자유로움 -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자유로와지기 위해서는 자신이 누구이며, 어떤 사람 혹은 어느 때 어느 곳에서는 아무것도 아닌 사람이라는 것에 편안할 수 있어야... 집착은 자신에 대한 가장 잔인한 행위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수자타 지음 / 하숙희 옮김 불일출판사 2022. 7. 5.
13강 종합 요약: 중관학의 화엄적 논법 중관학의 반논리학에서 중관학 논법만 가지고 개념의 실체성을 비판하면 어려울 수 있다. 중관학에서 개념의 실체성을 비판하려면 반드시 어떤 개념이든 그 개념이 묶여 있는 매듭을 찾아야 한다. 큰 방과 맺혀있는 매듭은 작은 방이다. 큰방은 작은 방과 비교해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내리는 비를 해체하려면 내림과 비가 매듭이다. 내림이 없으면 비가 없고, 비가 없으면 내림이 없다. 불을 논파하려면 연료가 매듭이다. 연기는 반드시 두 개 이상 발생한다. 연기의 반대말이 고기(고립적으로 일어난다)이다. 불경에 ‘세상 만사 가운데 고기하는 것은 없다.’는 ‘고립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없다.’는 뜻이다. 모든 것이 연기이다. 연기하는 것을 알아야지 그래서 공하구나 하고 공을 알 수 있다. 연기를 알려면 반드시 연기에 매듭을.. 2022. 7. 5.
ing: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 수자타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스승으로 삼는다면 우리는 곧 자유로와지리라. 불필요한 저항이나 불필요한 욕망에서 오는 괴로움으로 부터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수자타 지음 / 하숙희 옮김 불일출판사 2022.7.3.일요일. 2022. 7.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