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01

화엄적 논법 - 중관학14강 요약 및 화두와 선문답 지난 시간에는 화엄의 법기연기 사상, 일중일체다중일(一中一切多中一), 일즉일체다즉일(一卽一切多卽一) 사상 혹은 무한대와 무한소의 중첩 사상, 상즉상입(相卽相入) 사상(서로 동치, 서로 일치하고 서로 들어간다)-하나가 곧 모든 것이요. 모든 것이 곧 하나요는 서로 동일하다는 상즉사상이고, 상입은 하나 속에 모든 것이 들어가고 모든 것 속에 하나가 다 들어간다는 일중일체다중일이다.-의 패턴(공식)을 통해서 개념의 실체성을 비판하는 훈련을 해 보았다. 화엄에서만 가지고 있는 틀을 가지고(우리가 체험하는 세상만사 전체가 다 눈에 보이는 것이든 귀에 들리는 것이든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이든 그 무엇이든 모든 것이) 하나의 그 개념에 대해서 집요하게 추구하면 하나의 의미가 해체되고 다 무너져버리는 깨달음으로 가는 길.. 2022. 7. 15.
긴장을 풀어주는 유일한 치료제 - 느긋함 느긋함은 긴장을 풀어주는 유일한 치료제 스스로 다짐하라. 나는 느긋함을 배울 수 있다고. 안절부절은 자연스러운 것. 결점도 역시 자연스러운 것.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수자타 지음 / 하숙희 옮김 불일출판사 2022. 7. 10.
화엄경 법성게-상즉상입: 화엄적 논법 [의상대사의 법성게 – 상즉상입(相卽相入)] 상즉: 일즉일체 다즉일 一卽一切 多卽一 , 상입: 일중일체 다중일 一中一切 多中一 일체 속에 무한이 있다. “하나 속에 무한 있고 무한 속에 하나 있고 하나가 곧 무한이요 무한이 곧 하나일세.” [의 절대부정과 의 절대긍정] 공(空), 무(無) = 우주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시계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욕심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시작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종말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물질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살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마음 = 모든 것(일체) 공(空), 무(無) = 부처 = 모든 것(일체) 공(空),.. 2022. 7. 10.
수행자는...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수자타 수행자는 해치지 않고 죽이지 않고 괴롭히지 않고 수행자는 사랑으로 이웃을 축복하고 모두에게 번영을 가져오고 스스로 행복하게 살면서 남도 행복하도록 도와주고 그래서 수행자는 친구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소중하게 여겨지는 사람들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수자타 지음 / 하숙희 옮김 불일출판사 2022. 7. 8.
화엄적 논법: 개념의 실체성비판-웃음, 울음, 정지와 움직임 웃음 웃음이 무엇인가? 웃음이라고 할 때 결론은 웃음도 모든 것이다가 되어야 한다. 생각해 보자. 언제 웃는가? 기쁘면 웃는다. 기쁠 때만 웃는가? 슬플 때도 웃고, 화가 나도 웃는다. 정신이 좀 나가도 웃기도 한다. 간지러워도 웃는다. 웃음이 모든 감정을 표현한다. 이것이 화엄이다. 웃음이 무엇이냐고 할 때 독특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다. 모든 감정을 다 표현한다. 웃음이 뭐냐 할 때 모든 게 다 웃음이다. 일체가 다 웃음을 유발한다. 울음 울음이 무엇인가? 슬플 때, 기쁠 때 즉 상반된 감정일 때도 운다. 무서워도 울고, 이유 없이 울기도 한다. 울음도 역시 마찬가지로 모든 감정을 다 표현한다. 감정이든, 욕심이든, 어떤 사물이든, 어떤 개념이든 그 모든 게 다 테두리가 없다는 것과 열려 있음을.. 2022. 7. 8.
ing: 자유로움 -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자유로와지기 위해서는 자신이 누구이며, 어떤 사람 혹은 어느 때 어느 곳에서는 아무것도 아닌 사람이라는 것에 편안할 수 있어야... 집착은 자신에 대한 가장 잔인한 행위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수자타 지음 / 하숙희 옮김 불일출판사 2022. 7. 5.
반응형